라리가 1992-93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2-93 시즌 라리가는 FC 바르셀로나가 우승을 차지했다. 레알 마드리드는 2위를, 데포르티보 라코루냐는 3위를 기록했으며, 4위는 발렌시아 CF였다. 알바세테와 RCD 에스파뇰은 강등 플레이오프전에 참가했고, 카디스와 레알 부르고스는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되었다. 베베투는 29골로 득점왕(피치치 상)을 차지했으며, 프란시스코 리아노와 산티아고 카니사레스는 사모라 상을 공동 수상했다. 한편, 이 시즌에는 라요 바예카노의 골키퍼 윌프레드 아그보나브바레가 인종차별적 비난을 받는 사건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3년 축구 - 1993년 코파 아메리카
1993년 코파 아메리카는 에콰도르에서 CONMEBOL 10개국과 CONCACAF 초청국 2개국이 참가하여 경쟁한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로, 아르헨티나가 멕시코를 꺾고 우승하며 2회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 1993년 축구 - 1993년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항공기 참사
1993년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항공기 참사는 1993년 4월 27일 가봉 리브르빌 인근 해상에서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을 태운 항공기가 추락하여 30명이 사망한 사고이며, 조종사 실수로 인한 엔진 정지가 원인으로 밝혀졌다. - 1992년 축구 - UEFA 유로 1992
1992년 스웨덴에서 개최된 UEFA 유로 1992는 유고슬라비아 대신 출전한 덴마크의 우승이라는 이변과 함께 "유로" 명칭 사용 전 마지막 대회이자 선수 이름이 등번호 옆에 인쇄된 최초의 주요 축구 대회였다. - 1992년 축구 - 1992년 다이너스티컵
1992년 다이너스티컵은 한국, 중국, 일본, 북한이 참가하여 리그전 후 결승전을 치른 국제 축구 대회로, 일본이 우승, 한국이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다카기 다쿠야가 득점왕, 미우라 가즈요시가 MVP를 수상했다. - 라리가 시즌 - 라리가 1995-96
라리가 1995-96은 1995년 9월부터 1996년 6월까지 진행된 스페인 프로축구 리그 시즌으로, 22개 팀이 참가하여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우승했고 후안 안토니오 피치가 득점왕, 프란시스코 모리나가 최소 실점상을 수상했으며 1승당 승점이 3점으로 변경되었다. - 라리가 시즌 - 라리가 2000-01
라리가 2000-01 시즌은 스페인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의 70번째 시즌으로, 총 20개 팀이 참가하여 레알 마드리드가 우승하고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가 2위를 차지했으며, UD 라스팔마스, CA 오사수나, 비야레알 CF가 승격하고 레알 오비에도, 라싱 산탄데르, CD 누만시아가 강등되었다.
| 라리가 1992-93 | |
|---|---|
| 대회 정보 | |
| 대회 | 라리가 |
| 시즌 | 1992–93 |
| 기간 | 1992년 9월 5일 – 1993년 6월 20일 |
| 경기 수 | 380 |
| 총 득점 | 954 |
| 경기당 평균 득점 | 2.51 |
| 이전 시즌 | 1991–92 |
| 다음 시즌 | 1993–94 |
| 결과 | |
| 우승 | 바르셀로나 (13번째 우승) |
| 강등 | 에스파뇰 카디스 레알 부르고스 |
| UEFA 챔피언스리그 진출 | 바르셀로나 |
| UEFA 컵 위너스 컵 진출 | 레알 마드리드 |
| UEFA 컵 진출 | 데포르티보 발렌시아 테네리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 득점 | |
| 득점왕 | 베베투 (29골) |
2. 리그 순위
wikitext
| 순위 | 클럽명 | 승점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
| 1 | 바르셀로나 | 58 | 25 | 8 | 5 | 87 | 34 | +53 | 챔피언스리그 1라운드 진출 |
| 2 | 레알 마드리드 | 57 | 24 | 9 | 5 | 75 | 28 | +47 | 컵 위너스 컵 1라운드 진출[7] |
| 3 | 데포르티보 | 54 | 22 | 10 | 6 | 67 | 33 | +34 | UEFA컵 1라운드 진출 |
| 4 | 발렌시아 | 48 | 19 | 10 | 9 | 60 | 33 | +27 | |
| 5 | 테네리페 | 44 | 15 | 14 | 9 | 59 | 47 | +12 | |
| 6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43 | 16 | 11 | 11 | 52 | 42 | +10 | |
| 7 | 세비야 | 43 | 17 | 9 | 12 | 46 | 44 | +2 | |
| 8 | 아틀레틱 빌바오 | 40 | 17 | 6 | 15 | 53 | 49 | +4 | |
| 9 | 사라고사 | 35 | 11 | 13 | 14 | 37 | 52 | -15 | |
| 10 | 오사수나 | 34 | 12 | 10 | 16 | 42 | 41 | +1 | |
| 11 | 셀타 비고 | 34 | 9 | 16 | 13 | 25 | 32 | -7 | |
| 12 | 스포르팅 히혼 | 34 | 11 | 12 | 15 | 38 | 57 | -19 | |
| 13 | 레알 소시에다드 | 34 | 13 | 8 | 17 | 46 | 59 | -13 | |
| 14 | 라요 바예카노 | 33 | 8 | 17 | 13 | 40 | 49 | -9 | |
| 15 | 로그로녜스 | 33 | 11 | 11 | 16 | 32 | 48 | -16 | |
| 16 | 오비에도 | 32 | 11 | 10 | 17 | 42 | 52 | -10 | |
| 17 | 알바세테 | 31 | 11 | 9 | 18 | 54 | 59 | -5 | 강등 플레이오프전 참가 |
| 18 | 에스파뇰 | 29 | 9 | 11 | 18 | 40 | 56 | -16 | 강등 플레이오프전 참가 |
| 19 | 카디스 | 22 | 5 | 12 | 21 | 30 | 70 | -40 |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 |
| 20 | 레알 부르고스 | 22 | 4 | 14 | 20 | 29 | 69 | -40 |
스페인 프로 리그 기구(LFP)의 성적 자료에 근거한다.[6]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세비야는 승점이 같아 상대 전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세비야 1–3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1–0 세비야.
- 오사수나, 셀타 비고, 스포르팅 히혼, 레알 소시에다드는 승점이 같아 상대 전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오사수나 10점, 셀타 비고 7점, 스포르팅 히혼 4점, 레알 소시에다드 3점.
- 카디스와 레알 부르고스는 승점이 같아 상대 전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레알 부르고스 0–2 카디스; 카디스 3–2 레알 부르고스.
2. 1. 리그 순위표
| 순위 | 클럽명 | 승점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
| 1 | 바르셀로나 | 58 | 25 | 8 | 5 | 87 | 34 | +53 | 챔피언스리그 1라운드 진출 |
| 2 | 레알 마드리드 | 57 | 24 | 9 | 5 | 75 | 28 | +47 | 컵 위너스 컵 1라운드 진출[7] |
| 3 | 데포르티보 | 54 | 22 | 10 | 6 | 67 | 33 | +34 | UEFA컵 1라운드 진출 |
| 4 | 발렌시아 | 48 | 19 | 10 | 9 | 60 | 33 | +27 | |
| 5 | 테네리페 | 44 | 15 | 14 | 9 | 59 | 47 | +12 | |
| 6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43 | 16 | 11 | 11 | 52 | 42 | +10 | |
| 7 | 세비야 | 43 | 17 | 9 | 12 | 46 | 44 | +2 | |
| 8 | 아틀레틱 빌바오 | 40 | 17 | 6 | 15 | 53 | 49 | +4 | |
| 9 | 사라고사 | 35 | 11 | 13 | 14 | 37 | 52 | -15 | |
| 10 | 오사수나 | 34 | 12 | 10 | 16 | 42 | 41 | +1 | |
| 11 | 셀타 비고 | 34 | 9 | 16 | 13 | 25 | 32 | -7 | |
| 12 | 스포르팅 히혼 | 34 | 11 | 12 | 15 | 38 | 57 | -19 | |
| 13 | 레알 소시에다드 | 34 | 13 | 8 | 17 | 46 | 59 | -13 | |
| 14 | 라요 바예카노 | 33 | 8 | 17 | 13 | 40 | 49 | -9 | |
| 15 | 로그로녜스 | 33 | 11 | 11 | 16 | 32 | 48 | -16 | |
| 16 | 오비에도 | 32 | 11 | 10 | 17 | 42 | 52 | -10 | |
| 17 | 알바세테 | 31 | 11 | 9 | 18 | 54 | 59 | -5 | 강등 플레이오프전 참가 |
| 18 | 에스파뇰 | 29 | 9 | 11 | 18 | 40 | 56 | -16 | 강등 플레이오프전 참가 |
| 19 | 카디스 | 22 | 5 | 12 | 21 | 30 | 70 | -40 |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 |
| 20 | 레알 부르고스 | 22 | 4 | 14 | 20 | 29 | 69 | -40 |
스페인 프로 리그 기구(LFP)의 성적 자료에 근거한다.[6]
레알 마드리드는 코파 델 레이 우승 구단 자격으로 컵 위너스 컵 1라운드 진출권을 획득했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세비야는 승점이 같아 상대 전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세비야 1–3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1–0 세비야.
오사수나, 셀타 비고, 스포르팅 히혼, 레알 소시에다드는 승점이 같아 상대 전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오사수나 10점, 셀타 비고 7점, 스포르팅 히혼 4점, 레알 소시에다드 3점.
라요 바예카노와 로그로녜스는 승점이 같아 상대 전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라요 바예카노 2–1 로그로녜스; 로그로녜스 0–0 라요 바예카노.
카디스와 레알 부르고스는 승점이 같아 상대 전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레알 부르고스 0–2 카디스; 카디스 3–2 레알 부르고스.
2. 2. 결과
| style="background-color:#e0e0e0;" | | 알바세테 | 아틀레틱 빌바오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바르셀로나 | 카디스 | 셀타 비고 | 데포르티보 | 에스파뇰 | 로그로녜스 | 오사수나 | 라요 바예카노 | 레알 부르고스 | 레알 마드리드 | 오비에도 | 레알 소시에다드 | 세비야 | 스포르팅 히혼 | 테네리페 | 발렌시아 | 사라고사 |
|---|---|---|---|---|---|---|---|---|---|---|---|---|---|---|---|---|---|---|---|---|
| 알바세테 | 4–5 | 2–1 | 0–2 | 5–0 | 1–0 | 1–1 | 2–0 | 3–1 | 0–0 | 1–0 | 4–0 | 0–3 | 2–0 | 1–2 | 3–4 | 6–2 | 1–0 | 0–1 | 1–3 | |
| 아틀레틱 빌바오 | 3–1 | 1–2 | 1–0 | 2–1 | 0–1 | 0–1 | 2–0 | 2–0 | 1–0 | 4–2 | 1–1 | 1–1 | 1–0 | 2–0 | 2–1 | 0–0 | 2–2 | 1–4 | 3–2 |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3–2 | 1–1 | 1–4 | 2–0 | 1–1 | 2–1 | 2–1 | 0–1 | 2–1 | 1–0 | 2–0 | 1–1 | 2–1 | 0–0 | 1–0 | 1–1 | 3–2 | 1–1 | 2–2 | |
| 바르셀로나 | 3–3 | 2–1 | 1–1 | 4–1 | 2–0 | 3–0 | 5–0 | 3–0 | 2–1 | 4–0 | 4–1 | 2–1 | 2–0 | 1–0 | 2–1 | 7–2 | 1–1 | 3–0 | 1–0 | |
| 카디스 | 1–1 | 2–3 | 1–1 | 0–4 | 1–1 | 0–3 | 1–0 | 2–2 | 0–2 | 1–1 | 3–2 | 1–1 | 0–2 | 2–1 | 0–0 | 2–3 | 1–3 | 0–2 | 1–1 | |
| 셀타 비고 | 1–1 | 1–0 | 0–2 | 3–2 | 1–0 | 0–0 | 0–1 | 2–0 | 0–0 | 0–0 | 1–1 | 1–1 | 0–0 | 2–1 | 1–2 | 0–0 | 0–1 | 0–1 | ||
| 데포르티보 | 3–2 | 3–0 | 1–1 | 1–0 | 3–0 | 2–0 | 3–0 | 0–1 | 2–1 | 1–1 | 5–0 | 3–2 | 2–1 | 5–1 | 2–0 | 2–1 | 2–2 | 0–0 | 1–0 | |
| 에스파뇰 | 2–0 | 2–0 | 1–3 | 0–1 | 1–2 | 0–0 | 0–2 | 0–1 | 2–1 | 2–2 | 3–1 | 1–3 | 2–0 | 4–1 | 1–1 | 1–2 | 0–0 | 1–1 | 2–0 | |
| 로그로녜스 | 1–0 | 0–1 | 2–1 | 1–2 | 1–0 | 0–1 | 0–3 | 0–0 | 1–1 | 0–0 | 0–1 | 0–3 | 1–0 | 0–1 | 2–0 | 1–2 | 2–0 | 3–2 | 0–0 | |
| 오사수나 | 3–0 | 1–2 | 1–0 | 0–1 | 1–1 | 3–0 | 1–1 | 1–3 | 1–2 | 1–0 | 1–0 | 0–0 | 2–1 | 2–0 | 0–1 | 3–0 | 1–2 | 2–2 | 1–0 | |
| 라요 바예카노 | 2–2 | 1–0 | 2–0 | 3–3 | 1–1 | 0–1 | 1–1 | 1–1 | 2–1 | 1–0 | 2–1 | 2–0 | 2–2 | 1–1 | 0–1 | 2–2 | 2–2 | 0–1 | 0–0 | |
| 레알 부르고스 | 0–0 | 1–1 | 0–2 | 0–1 | 0–2 | 1–1 | 0–0 | 1–1 | 2–2 | 1–0 | 0–3 | 1–2 | 1–1 | 4–0 | 0–2 | 2–1 | 0–3 | 1–1 | 1–1 | |
| 레알 마드리드 | 3–0 | 2–0 | 1–0 | 2–1 | 3–1 | 1–0 | 2–1 | 3–1 | 1–1 | 3–0 | 1–1 | 3–0 | 3–2 | 2–0 | 5–0 | 0–0 | 3–0 | 2–0 | 4–0 | |
| 오비에도 | 0–0 | 1–0 | 1–4 | 1–0 | 2–1 | 3–1 | 3–3 | 2–2 | 0–0 | 1–2 | 1–1 | 3–0 | 0–4 | 2–2 | 1–1 | 2–1 | 1–2 | 0–1 | 4–1 | |
| 레알 소시에다드 | 2–1 | 1–0 | 1–0 | 2–2 | 3–0 | 1–1 | 0–2 | 4–1 | 3–0 | 1–3 | 1–2 | 2–2 | 1–5 | 1–0 | 1–0 | 1–2 | 3–1 | 1–0 | 1–1 | |
| 세비야 | 2–1 | 3–1 | 1–3 | 0–0 | 1–0 | 1–0 | 1–3 | 1–1 | 3–0 | 0–0 | 3–2 | 1–1 | 2–0 | 0–1 | 3–1 | 1–0 | 1–0 | 2–2 | 1–0 | |
| 스포르팅 히혼 | 1–0 | 0–4 | 2–1 | 1–1 | 1–0 | 0–3 | 0–1 | 1–1 | 1–1 | 0–0 | 1–0 | 0–0 | 0–0 | 0–1 | 2–4 | 1–3 | 1–2 | 1–0 | 3–1 | |
| 테네리페 | 2–2 | 2–1 | 2–2 | 1–1 | 1–1 | 1–0 | 3–1 | 2–1 | 1–1 | 2–2 | 4–0 | 3–1 | 2–0 | 1–2 | 1–0 | 3–0 | 0–2 | 0–0 | 2–2 | |
| 발렌시아 | 2–0 | 3–1 | 1–0 | 3–4 | 5–0 | 1–1 | 3–0 | 2–0 | 2–1 | 3–1 | 1–0 | 5–0 | 1–2 | 3–0 | 1–0 | 1–1 | 2–0 | 2–1 | 0–1 | |
| 사라고사 | 0–1 | 0–3 | 1–0 | 1–6 | 0–0 | 0–0 | 0–2 | 2–1 | 1–1 | 3–2 | 2–0 | 2–1 | 0–1 | 1–0 | 1–1 | 2–1 | 1–1 | 2–2 | 2–1 | | |
wikitext
3. 참가 구단
1992-93 시즌에는 총 20개의 구단이 프리메라리가에 참가했다. 다음은 이 시즌에 참가한 구단들의 목록이다.구단 위치 경기장 관중수 알바세테 알바세테 카를로스 벨몬테 18,000 아틀레틱 빌바오 빌바오 산 마메스 39,750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마드리드 비센테 칼데론 55,005 바르셀로나 바르셀로나 캄 노우 98,772 카디스 카디스 라몬 데 카란사 23,000 셀타 비고 비고 발라이도스 32,500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리아소르 34,600 에스파뇰 바르셀로나 사리아 41,000 로그로녜스 로그로뇨 라스 가우나스 9,552 오사수나 팜플로나 엘 사다르 19,800 라요 바예카노 마드리드 바예카스 14,708 레알 부르고스 부르고스 엘 플란티오 12,200 레알 마드리드 마드리드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80,354 오비에도 오비에도 카를로스 타르티에레 30,500 레알 소시에다드 산 세바스티안 아토차 32,200 사라고사 사라고사 라 로마레다 34,596 세비야 세비야 산체스 피스후안 45,500 스포르팅 히혼 히혼 엘 몰리논 25,885 테네리페 산타 크루스 데 테네리페 엘리오도로 로드리게스 로페스 22,824 발렌시아 발렌시아 루이스 카사노바 55,000
3. 1. 구단 정보
1992-93 시즌에는 총 20개의 구단이 리그에 참가했다. 다음은 이 시즌에 참가한 구단들의 목록이다.
| 구단 | 위치 | 경기장 | 관중수 |
|---|---|---|---|
| 알바세테 | 알바세테 | 카를로스 벨몬테 | 18,000 |
| 아틀레틱 빌바오 | 빌바오 | 산 마메스 | 39,750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마드리드 | 비센테 칼데론 | 55,005 |
| 바르셀로나 | 바르셀로나 | 캄 노우 | 98,772 |
| 카디스 | 카디스 | 라몬 데 카란사 | 23,000 |
| 셀타 비고 | 비고 | 발라이도스 | 32,500 |
| 데포르티보 | 라 코루냐 | 리아소르 | 34,600 |
| 에스파뇰 | 바르셀로나 | 사리아 | 41,000 |
| 로그로녜스 | 로그로뇨 | 라스 가우나스 | 9,552 |
| 오사수나 | 팜플로나 | 엘 사다르 | 19,800 |
| 라요 바예카노 | 마드리드 | 바예카스 | 14,708 |
| 레알 부르고스 | 부르고스 | 엘 플란티오 | 12,200 |
| 레알 마드리드 | 마드리드 |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 80,354 |
| 오비에도 | 오비에도 | 카를로스 타르티에레 | 30,500 |
| 레알 소시에다드 | 산 세바스티안 | 아토차 | 32,200 |
| 사라고사 | 사라고사 | 라 로마레다 | 34,596 |
| 세비야 | 세비야 | 산체스 피스후안 | 45,500 |
| 스포르팅 히혼 | 히혼 | 엘 몰리논 | 25,885 |
| 테네리페 | 산타 크루스 데 테네리페 | 엘리오도로 로드리게스 로페스 | 22,824 |
| 발렌시아 | 발렌시아 | 루이스 카사노바 | 55,000 |
3. 2. 구단 위치
1992-93 시즌 라리가에 참가한 구단들의 연고지는 스페인 지도와 카나리아 제도 지도에 표시되어 있다. 각 구단의 연고지와 경기장, 그리고 수용 인원은 다음과 같다.
| 구단 | 위치 | 경기장 | 관중수 |
|---|---|---|---|
| 알바세테 | 알바세테 | 카를로스 벨몬테 | 18,000 |
| 아틀레틱 빌바오 | 빌바오 | 산 마메스 | 39,750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마드리드 | 비센테 칼데론 | 55,005 |
| 바르셀로나 | 바르셀로나 | 캄 노우 | 98,772 |
| 카디스 | 카디스 | 라몬 데 카란사 | 23,000 |
| 셀타 비고 | 비고 | 발라이도스 | 32,500 |
| 데포르티보 | 라 코루냐 | 리아소르 | 34,600 |
| 에스파뇰 | 바르셀로나 | 사리아 | 41,000 |
| 로그로녜스 | 로그로뇨 | 라스 가우나스 | 9,552 |
| 오사수나 | 팜플로나 | 엘 사다르 | 19,800 |
| 라요 바예카노 | 마드리드 | 바예카스 | 14,708 |
| 레알 부르고스 | 부르고스 | 엘 플란티오 | 12,200 |
| 레알 마드리드 | 마드리드 |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 80,354 |
| 오비에도 | 오비에도 | 카를로스 타르티에레 | 30,500 |
| 레알 소시에다드 | 산 세바스티안 | 아토차 | 32,200 |
| 사라고사 | 사라고사 | 라 로마레다 | 34,596 |
| 세비야 | 세비야 | 산체스 피스후안 | 45,500 |
| 스포르팅 히혼 | 히혼 | 엘 몰리논 | 25,885 |
| 테네리페 | 산타 크루스 데 테네리페 | 엘리오도로 로드리게스 로페스 | 22,824 |
| 발렌시아 | 발렌시아 | 루이스 카사노바 | 55,000 |
4. 강등 플레이오프전
라리가 1992-93 시즌 강등 플레이오프전은 1993년 6월 23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이 경기는 프리메라리가 17위, 18위 팀과 세군다 디비시온 3위, 4위 팀 간에 진행되었다.
1차전에서 에스파뇰은 라싱 산탄데르에 0-1로 패배했고, 마요르카는 알바세테에 1-3으로 패배했다. 2차전에서 라싱 산탄데르와 에스파뇰은 0-0으로 비겼고, 알바세테는 마요르카에 2-1로 승리했다.
최종 결과, 라싱 산탄데르가 합계 1-0으로 승리하여 프리메라리가 잔류를 확정지었고, 알바세테는 합계 4-3으로 승리하여 잔류에 성공했다.
4. 1. 경기 결과
라리가 1992-93 시즌 강등 플레이오프전은 1993년 6월 23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이 경기는 프리메라리가 17위, 18위 팀과 세군다 디비시온 3위, 4위 팀 간에 진행되었다.
1차전에서 에스파뇰은 라싱 산탄데르에 0-1로 패배했고, 마요르카는 알바세테에 1-3으로 패배했다. 2차전에서 라싱 산탄데르와 에스파뇰은 0-0으로 비겼고, 알바세테는 마요르카에 1-2로 승리했다.
최종 결과, 라싱 산탄데르가 합계 1-0으로 승리하여 프리메라리가 잔류를 확정지었고, 알바세테는 합계 4-3으로 승리하여 잔류에 성공했다.
5. 개인 기록
wikitable
| 순위 | 이름 | 골 | 구단 |
|---|---|---|---|
| 1 | 베베투/Bebetopt | 29 | 데포르티보 |
| 2 | 이반 사모라노/Iván Zamoranoes | 26 | 레알 마드리드 |
| 3 | 류보슬라프 페네프/Любослав Пеневbg | 20 | 발렌시아 |
|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Христо Стоичковbg | 바르셀로나 | ||
| 5 | 루이스 가르시아/Luis Garcíaes | 17 | 아틀레티코 |
| 호세 앙헬 시간다/José Ángel Zigandaeu | 아틀레틱 | ||
| 7 | 치키 베히리스타인/Txiki Begiristaineu | 15 | 바르셀로나 |
| 카를로스 무뇨스/Carlos Muñozes | 오비에도 | ||
| 후안 안토니오 피시/Juan Antonio Pizzies | 테네리페 | ||
| 10 | 토니 폴스터/Anton Polsterde | 14 | 라요 |
피치치 상은 리그에서 가장 많은 득점을 기록한 선수에게 주어진다.
프란시스코 리아노es와 산티아고 카니사레스가 데포르티보 라코루냐와 셀타 비고 소속으로 각각 37경기 31실점, 36경기 30실점을 기록하여 평균 실점률 0.83으로 공동 1위를 차지하며 사모라 상을 수상했다. 3위는 레알 사라고사의 안도니 세드룬/Andoni Cedrúnes으로 36경기 35실점, 평균 실점률 0.97을 기록했다. 4위는 발렌시아 CF의 호세 마누엘 셈페레es:José Manuel Sempere로 35경기 31실점, 평균 실점률 0.88이었다. 5위는 FC 바르셀로나의 안도니 수비사레타가 38경기 34실점, 평균 실점률 0.89를 기록했다.
| 순위 | 선수 | 클럽 | 실점 | 경기 | 실점률 |
|---|---|---|---|---|---|
| 1 | 프란시스코 리아노/Francisco Liañoes |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 31 | 37 | 0.83 |
| 산티아고 카니사레스/Santiago Cañizareses | 셀타 비고 | 30 | 36 | 0.83 | |
| 3 | 안도니 세드룬/Andoni Cedrúnes | 레알 사라고사 | 35 | 36 | 0.97 |
| 4 | 호세 마누엘 셈페레/José Manuel Semperees | 발렌시아 CF | 31 | 35 | 0.88 |
| 5 | 안도니 수비사레타/Andoni Zubizarretaes | FC 바르셀로나 | 34 | 38 | 0.89 |
| 6 | {{llang|es|Roberto Santamaría Calavia|로베르토 산타마리아]] || align="left" | CA 오사수나 || 38 || 36 || 1.05 | ||||
| 7 | 후안 카를로스 운수에/Juan Carlos Unzuées | 세비야 FC | 44 | 38 | 1.15 |
| 8 | 후안 카를로스 아블라네도/Juan Carlos Ablanedoes | 스포르팅 데 히혼 | 34 | 29 | 1.20 |
| 9 | 훌렌 로페테기/Julen Lopeteguies | CD 로그로녜스 | 46 | 37 | 1.24 |
| 10 | 후안 호세 발렌시아/Juan José Valenciaes | 아틀레틱 빌바오 | 49 | 38 | 1.28 |
5. 1. 득점 순위 (피치치 상)
{| 순위 | 이름 | 골 | 구단 |
|---|---|---|---|
| 1 | 베베투/Bebetopt | 29 | 데포르티보 |
| 2 | 이반 사모라노/Iván Zamoranoes | 26 | 레알 마드리드 |
| 3 | 류보슬라프 페네프/Любослав Пеневbg | 20 | 발렌시아 |
|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Христо Стоичковbg | 바르셀로나 | ||
| 5 | 루이스 가르시아/Luis Garcíaes | 17 | 아틀레티코 |
| 호세 앙헬 시간다/José Ángel Zigandaeu | 아틀레틱 | ||
| 7 | 치키 베히리스타인/Txiki Begiristaineu | 15 | 바르셀로나 |
| 카를로스 무뇨스/Carlos Muñozes | 오비에도 | ||
| 후안 안토니오 피시/Juan Antonio Pizzies | 테네리페 | ||
| 10 | 토니 폴스터/Anton Polsterde | 14 | 라요 |
피치치 상은 리그에서 가장 많은 득점을 기록한 선수에게 주어진다.
5. 2. 실점 순위 (사모라 상)
프란시스코 리아노es와 산티아고 카니사레스가 데포르티보 라코루냐와 셀타 비고 소속으로 각각 37경기 31실점, 36경기 30실점을 기록하여 평균 실점률 0.83으로 공동 1위를 차지하며 사모라 상을 수상했다. 3위는 레알 사라고사의 안도니 세드룬/Andoni Cedrúnes으로 36경기 35실점, 평균 실점률 0.97을 기록했다. 4위는 발렌시아 CF의 ESP/호세 마누엘 셈페레}}로 35경기 31실점, 평균 실점률 0.88이었다. 5위는 FC 바르셀로나의 안도니 수비사레타가 38경기 34실점, 평균 실점률 0.89를 기록했다.| 순위 | 선수 | 클럽 | 실점 | 경기 | 실점률 |
|---|---|---|---|---|---|
| 1 | 산티아고 카니사레스 | 셀타 비고 | 30 | 36 | 0.83 |
| 3 | 안도니 세드룬 | 레알 사라고사 | 35 | 36 | 0.97 |
| 4 | 호세 마누엘 셈페레 | 발렌시아 CF | 31 | 35 | 0.88 |
| 5 | 안도니 수비사레타 | FC 바르셀로나 | 34 | 38 | 0.89 |
| 6 | 로베르토 산타마리아 | CA 오사수나 | 38 | 36 | 1.05 |
| 7 | 후안 카를로스 운수에 | 세비야 FC | 44 | 38 | 1.15 |
| 8 | 후안 카를로스 아브라네도 | 스포르팅 데 히혼 | 34 | 29 | 1.20 |
| 9 | 훌렌 로페테기 | CD 로그로녜스 | 46 | 37 | 1.24 |
| 10 | 후안 호세 발렌시아 | 아틀레틱 빌바오 | 49 | 38 | 1.28 |
6. 논란
1992-93 라 리가 시즌에서 라요 바예카노 골키퍼 윌프레드 아그보나브바레는 레알 마드리드 팬들로부터 인종차별적인 비난을 받았다.[1] "흑인, 이 개자식아, 솜이나 따러 가라!"[1] 와 같은 구호와 더불어, 생방송 TV에서 한 중년 남성은 "라요의 저 빌어먹을 흑인"과 심판 후안 안두하르 올리버를 레알 마드리드의 패배 원인으로 지목했고, 십 대 팬들은 "쿠 클럭스 클랜"을 외치기도 했다.[2] 13세의 레알 마드리드 팬은 나이지리아 골키퍼에게 "일요일에 우리는 바예카스로 가서 그 흑인, 그 개자식을 때려 죽일 것이다"라는 위협을 가했다.[3]
윌프레드는 "그건 정상이에요, 저는 피부색이 어둡고 많은 선방을 했으니 사람들이 저에게 소리칠 거라고 예상했어요. 하지만 저는 축구 선수이고 이건 아무것도 아니에요. 저는 경기에 집중하고 있어요"라고 말했다.[4][5] 라요 바예카노의 좌익 성향 울트라 단체인 부카네로스는 윌프레드에게 "인종차별에 맞서 챔피언십을 지킨 당신을 잊지 않겠습니다"라는 낙서를 바쳤다.[4]
7. 기타
1992-93 우승
13번째 우승